본문 바로가기

IT

나만의 비서 이통3사 AI스피커 종류 확인

 

요즘 AI 스피커가 정말 많이 나오고 있어요 아마존닷컴의 에코 구글의 구글홈 애플의 홈팟을 시작으로 현재는 이동통신회사들이 주도를 하고 있습니다.

SK의 누구, KT의 기가지니, LG 스마트씽큐 허브 2.0 , 그리고 네이버, 카카오에서까지 정마 AI스피커 대전이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흥행하고 있는 AI스피커 의 특징 및 스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K 누구(NUGU)

가장 먼저  이통사 3사 중 가장먼저 출시한 누구 입니다. 처음 광고가 나왔을때 저건 모지? 라는 궁금증과 10만대를 넘는 판매를 기록하며 단연 이통3사 중 가장 많은 판매대수를 기록하였습니다. 누구의 기능들을 살펴보면 음색검색을 통한 음악재생(멜론)은 물론이거니와 날짜,시간, 요일, 정보조회 등등 가능하다고 합니다. 편하게 생각 하자면 아이폰의 시리와 같은 기능이 스피커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SK브로드밴드와 연동하면 TV컨트롤과 스마트폰과 연동도 된다고 하니 일상생활에서 정말 편리할것 같습니다. 현제 저가형 누구미니도 출시되어 좋은 반응을 받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하여 만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KT 기가지니

AI스피커가 대부분 기본적인 기능들이 비슷합니다. 하지만 기가지니의 경우 가장 특별한 점은 기가지니에 기본탑재 되어있는 카메라를 둘수 있는데요. 이 카메라를 통해 올레TV와 연동한다면 영상통화도 할수 있다고 합니다. 기가 지니의 경우 TV와 연결되어 있는 서비스가 많아 여러 컨텐츠를 TV를 통해서 볼수 있다는 것이 다른 AI스피커와의 차이점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광고에 보면 기가지니를 이용하여 티비에 나오는 컨텐츠를 같이 따라하는 장면이 나오는데요 이러한 것들이라고 예를 들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AI스피커보다 한국어 인식률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한국사람에게 최적화되어 있는 스피커라고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LG 스마트씽큐 허브 2.0

스마트 씽큐의 경우 가장큰 특징은 LG전자에서 나오는 가전 제품들을 스마트 씽큐로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기본적인 음성 인식 시스템은 위 2가지의 스피커들과 비슷하지만 스마트씽큐 센서가 부착 되어 있는 전자기기들(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을 제어할수 있는 것은 정말로 편리한 기능인것 같습니다. 상단부에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확인할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 될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제 까지 가전제품에 스마트 씽큐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제품들은 고가의 제품들이라 아직까지 호환되는 제품들이 적은 실상 입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호환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스마트 씽큐허브의 실용성은 더 올라갈것으로 판단 됩니다. 또한 LOT 서비스를 이용하여 집안의 가스,전기를 제어할수 있는 기능들도 있습니다.

 

3제품 모두 기본적은 AI 시스템은 비슷하지만 각각 다른 개성이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선택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또한 TV가 이통 3사중 맞는 제품을 사용하는게 편의성과 실용성 면에서는 좋을것 같습니다. 3제품 모두 블루투스를 호환하기 때문에 개별 스피커로도 사용할수 있습니다.